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윈도우8
- sosirang출석부스킨
- regedit
- DDoS
- win7
- iso변환
- linux
- DVD 플레이어
- DVD Decrypter
- grub
- 오피스2007
- reg설정
- iodd
- grub4dos
- win8
- DVD
- regedit내용요약
- iodd2501
- 공cd
- windows8
- iodd2511
- 소시랑출석부
- adata s102
- 공dvd
- XE소시랑출석부
- DVD ISO
- 출석부스킨
- 변환
- 시디키변경
- iso
- Today
- 0
- Total
- 241,945
목록linux (2)
만키로군 Blog
안녕 리눅스를 아주 잘 쓰고 있는 허접 유저입니다. 매일 도움만 얻어가다가 간단한 스크립트를 하나 만들어서 올립니다. 여건상 어쩔 수 없이 외부에서 접근하는 IP를 모두 블락시켜놓지 못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웹호스팅 서버의 경우 서버에 입주해 있는 유저들도 ssh등을 써야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하는 IP를 모두 막을 수 없는 일이 벌 어집니다. 루트 로그인을 막아놓고 방화벽으로 필요없는 포트를 모두 막아놓는다 하더라 도, 매일매일 무수히 접근시도를 하는 메세지들이 로그에 쌓이는걸 보니(하루 에 수천번 접속 시도를 합니다...) 짜증이 살짝 솟구쳐서-_- 아래와 같은 스크 립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포트센트리는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가 자주나와 아예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_-; 간단히 말..
백업은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범주에 속하는 작업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서버관리자라면 당연히 이 백업에 신경써야 하며 철저히 관리 해야 한다. 리눅스에서는 어떤 작업에 대한 자동화툴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cron이라는 것이다. 데몬이 물론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 ntsysv에서 cron데몬이 자동으로 실행되는지 검사해보자. 보통의 경우라면 되어 있을 것이다. 내가 사용하는 방법은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만들어 놓고 cron에서 그 명령어를 주기적으로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root아래에 backup.sh 이라는 파일을 만들어 놓고 백업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주었다. #!/bin/bash /usr/local/mysql/bin/mysqldump -uroot -p***** mysql > mysql_d..